[NFT 비즈니스] 1인 기업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NFT로 돈 버는 방법

관리자
2022-01-28
조회수 303

[NFT 비즈니스] 1인 기업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NFT로 돈 버는 방법


21세기 코로나, 인공지능과 로봇의 등장, 블록체인으로 인해서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는 디지털 세계에 있습니다. 앞으로 1인 기업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키워드는 바로 메타버스와 NFT 비즈니스입니다.


NFT 분석업체 펀저블닷컴(nonfungible.com)에서 2019년 NFT 거래 규모는 6,286만 달러에서 2020년에는 2억 5,000만 달러로 1년 사이에 4배나 성장하였습니다. 


NFT란?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 Non 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특정 디지털 자산을 나타내는 암호 토큰으로 가상 자산을 말합니다.


디지털 파일은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있어  복사하면 원본과 사본을 구분할 수 없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를 이용하면 대체 불가능한 진품을 인증하고  소유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작품에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기술이 적용되면 이후에 만들어진 복사본은 절대 원본과 같을 수가 없어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이 보장되어 창작자가 부를 축적할 수 있습니다.


NFT 비즈니스의 시작은 2017년 11월 대퍼랩스(Dapper Labs)가 개발한 세계 최초 블록체인 게임 크립토 키티입니다. 블록체인·이더리움 기반의 고양이 육성 게임인 크립토 키니는 고양이들을 교배해 자신만의 희귀한 고양이를 만들고 판매해서 수익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디지털 아트 NFT 비즈니스 시장


디지털 아티스트 마이크 윈켈만(Mike Winkelmann)이 만든 10초짜리 비디오 영상이  2021년 2월 660만 달러(74억 원)에 판매가 되었습니다. 마이크 윈켈만의 첫 5,000일이라는 작품이 경매에서 6,930만 달러에 거래가 되어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습니다. 트위터의 대표 잭 도시의 첫 트위터 NFT가 290만 달러에 판매가 되었고, 일론 머스크의 여자 친구 그림 컬렉션 10점이 65억 원에 팔렸습니다.


한국의 미술품 경매사 마이아트옥션에서도 원화 실물이 없는 디지털 작품의 원본임을 증명하는 NFT "십장생도 6폭병풍"을 경매에 올려 소유권을 판매하는 형식으로 경매를 마쳤습니다.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의 작품 글로벌 그루브도  NFT로 1억 1,000만∼2억 2,000만 원에 경매가 되었습니다.


NFT는 예술품을 현금화하는 데 있어 갤러리나 경매업체 등을 통하지 않아도 되고,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직접 판매가 가능하며 재판매시 저작권 수수료까지 받을 수 있어 작가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NFT 플랫폼 테사에서는 그림 원본은 그대로 두고 소유권 여러 조각으로 나눠 투자자들이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작품 소유권 일부를 구매하여 작품을 매각 시 소유 지분에 따라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게임 NFT 비즈니스 시장


위메이드는 NFT 기술이 적용된 다중 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미르 4'를 NFT 플랫폼화하겠다는 계획으로  해외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카카오게임즈와 NC소프트, 넷마블 역시 NFT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준비 중입니다.


아이템 구입에 돈을 쓰는 방식(Pay to Win) 대신 게임을 하며 돈을 벌 수 있는 모델(Pay to Earn)을 내세우며 많은 사람들과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규제가 심해서 해외를 타깃으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NFT 기술을 활용하면 시간과 돈을 사용해서 캐릭터나 아이템을 키울 수 있고, 아이템의 생성, 판매, 강화 이력 등을 추적 이 가능하여 아이템에 대한 권리가 보장받을 수 있고 게임 아이템을 가상화폐로 거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스마트 계약을 활용하면 일정 시간 고가의 아이템을 싸게 빌리는 것도 가능한 공유 서비스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도 가능합니다. 


1인 기업 NFT 창업 비즈니스 시장


현재의 NFT 시장은 대중 시장이 아닌 소장품/수집품 등의 마니아 시장에 가깝습니다.NFT 창작자 개인이 하기에는 버거운 일이 많아서 여기에 1인 기업의 사업성이 있습니다.


NFT 플랫폼 뮤직 카우에서는 음악 저작권을 경매를 통해 낙찰받고 마켓에서 판매가 가능합니다. 보유한 지분과 보유 기간에 따라 해당 곡 저작권료를 매월 받을 수 있습니다. 음악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고객을 확보하여 판매를 대행하거나 시세차익을 만들 수 있습니다.




NFT 아트 큐레이터

미술작가들의 미술품을 NFT로 전환하여 판매를 해줄 수 있는 NFT 미술품 판매 대행을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미술작가들을 컨설팅/코칭을 해주는 교육사업모델도 가능합니다.



NFT 부동산 마케터

더 샌드박스는 가상 토지 랜드(LAND)를 NFT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는 가상 토지를 소유하고 자신만의 공간을 구성하여  다른 이용자들을 초대해서 상거래를 하여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 부동산 현물을 작게 쪼개어 NFT 화하여 소액투자자들을 모으거나,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임대수익을 나누고 매각 수익을 나누는 1인 NFT 부동산 마케터도 유망한 직업입니다. 큰 자금이 필요해서 일반인들은 투자하지 못했던 현물자산도 소액으로 투자하고 투자 수익금을 얻을 수 있어 ‘대체투자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선진국에서는 NFT 상품 중개회사가 속속 생겨나고 있고, 이는 1인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필자가 속한 1인 기업 비즈니스 연구회에서는 1인 기업이 큰 비용 없이 NFT 마켓 플레이스를 제작할 수 있으며 NFT를 제작하고 발행하는 방법과 판매하는 신기한 마케팅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1인기업비즈니스연구회 NFT 홈페이지>



1인 기업 NFT 비즈니스에 관해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홈페이지에 가입하시면 1인 기업 비즈니스 연구회의 30년 노하우가 담긴 "플랫폼 비즈니스" 전자책을 무료로 선물로 드립니다.


-신기한 디지털마케팅 큐레이터 신범용-


#NFT#NFT비즈니스#1인기업#nft창업#1인창업#아트큐레이터#nft아트#nft부동산

 

0 0